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약 당첨 후 세금 얼마나 내야 할까? 분양권 세금 총정리 (취득세·양도세·종부세)

by 코코모3 2025. 4. 19.

 

“청약 당첨되면 무조건 좋은 거 아닌가요?”
맞습니다. 그런데... 세금 계산은 하셨나요?
많은 분들이 청약에 당첨된 후 ‘세금 폭탄’을 맞는 이유,
바로 분양권에 붙는 각종 세금을 미리 체크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청약 당첨 이후 반드시 알아야 할 분양권 관련 세금 3가지
✔️ 취득세
✔️ 양도소득세
✔️ 종합부동산세
를 상세히 정리해드립니다.


💸 1. 분양권 취득세 – 당첨되면 바로 내야 합니다

취득세는 분양권을 실제로 ‘계약’하는 시점이 아닌,
입주(소유권이전등기) 시점에 납부합니다.

📌 2023년 이후로 분양권도 ‘주택 수’에 포함되므로,
취득세율이 다음과 같이 바뀌었습니다.

주택 수취득세율
1주택자 1.1~3.5% (가격 따라 차등)
2주택자 8%
3주택자 이상 12%

💡 1주택 상태에서 분양권에 당첨되면, 2주택자로 간주되어 세율 급등합니다!
👉 일시적 2주택 비과세 요건 확인 필수!


💼 2. 분양권 양도소득세 – 분양권도 ‘투자자산’입니다

분양권을 되팔 때는 양도소득세가 발생합니다.
특히 2023년부터 분양권 양도 시 중과세가 적용되고 있으며,
다주택자 기준으로 최고 70% 세율이 붙을 수 있습니다.

📌 주요 기준

  • 보유 기간 1년 미만 양도: 70% 세율
  • 1~2년 미만 보유: 60%
  • 2년 이상 보유: 기본세율 (6~45%) 적용

💬 조정대상지역일 경우 중과세 대상 가능성 매우 높습니다
→ 세금 피하려면 최소 2년 이상 보유 전략 필요


🏠 3. 종합부동산세 – 분양권도 주택 수에 포함

2023년 이후로 분양권도 ‘주택 수’로 간주되기 때문에,
이미 1주택자가 분양권을 추가로 취득하면 종부세 부과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시가표준액 기준으로 계산
✔️ 1주택자 종부세 기본공제: 11억 원
✔️ 분양권은 ‘시가 기준’ 포함 → 실제 세금 발생 가능

📌 다주택자 중 분양권 + 주택 보유 시
종부세 + 취득세 + 양도세 트리플 부담 발생 가능


📊 분양권 세금 한눈에 정리표

세금 항목발생 시점주요 기준
취득세 입주 시 주택 수에 따라 1.1~12%
양도소득세 분양권 양도 시 보유 기간별로 6~70%
종합부동산세 매년 6월 1일 기준 분양권도 주택 수 포함됨

✅ 세금 피하려면 이렇게 하세요 (실전 절세 전략)

1️⃣ 무주택 상태로 당첨받기 → 취득세율 최소화
2️⃣ 분양권 2년 이상 보유 후 양도 → 중과 피하기
3️⃣ 1주택자라면 기존 주택 처분 계획 수립 → 일시적 2주택 요건 만족해야 세금 면제
4️⃣ 세대분리 전략도 고려 가능 → 가족 명의로 분산 보유

💡 세금 때문에 분양권을 포기하는 사례도 많습니다.
👉 당첨 전에 반드시 전략을 짜두세요!


🧾 당첨 후 꼭 해야 할 체크리스트

✅ 계약 전 → 기존 주택 보유 현황 정리
✅ 입주 전 → 취득세 예산 확보
✅ 양도 계획 → 보유 기간 확인 후 타이밍 조절
✅ 세무 상담 → 세대 수 분리/일시적 2주택 여부 사전 검토

📲 국세청 홈택스 양도세 계산기, LH·청약홈 공고문 활용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