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통신요금 감면 제도는 저소득층,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 취약계층의 통신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부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2025년 기준 통신요금 감면 지원의 대상자, 신청 방법, 혜택 등을 자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지원 대상
- 기초생활수급자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 차상위계층
- 장애인
- 국가유공자
- 기초연금수급자
지원 내용
통신요금 감면 혜택은 대상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대상자 | 지원 내용 | 최대 감면액 (월) |
---|---|---|
기초생활수급자 (생계·의료) | 기본요금 감면 + 통화료·데이터 요금 50% 할인 | 36,850원 |
기초생활수급자 (주거·교육) | 기본요금 감면 + 통화료·데이터 요금 35% 할인 | 23,650원 |
차상위계층 | 기본요금 감면 + 통화료·데이터 요금 35% 할인 | 23,650원 |
장애인 | 기본요금 감면 + 통화료·데이터 요금 35% 할인 | 제한 없음 |
국가유공자 | 기본요금 감면 + 통화료·데이터 요금 35% 할인 | 제한 없음 |
기초연금수급자 | 기본요금 감면 + 통화료·데이터 요금 35% 할인 | 23,650원 |
신청 방법
1. 온라인 신청
ㄱㄱ
2. 오프라인 신청
- 거주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 신청서 및 관련 서류 제출
- 자격 확인 및 심사
- 승인 후 통신요금 감면 적용
3. 통신사 대리점 신청
- 이동통신사 대리점 방문 (SKT, KT, LG U+ 등)
- 신청서 및 관련 서류 제출
- 자격 확인 및 심사
- 승인 후 통신요금 감면 적용
제출 서류
- 신분증
- 수급자 증명서 또는 자격 확인서류
- 통신요금 청구서 (해당 시)
- 기타 필요 서류 (가족관계증명서 등)
유의사항
- 통신요금 감면은 본인 명의의 회선에 한해 적용됩니다.
- 가구당 최대 4회선까지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알뜰폰(MVNO) 이용자는 감면 혜택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해당 통신사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감면 혜택은 신청한 다음 달부터 적용됩니다.
문의처
- 복지로 고객센터: 129
- 정부24 고객센터: 1588-2188
- 통신요금 감면 전용센터: 1523
- SKT 고객센터: 114
- KT 고객센터: 100
- LG U+ 고객센터: 1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