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실업급여 계산법 총정리

by 코코모3 2025. 4. 18.

 

 

“실업급여, 내가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얼마일까?” 지금 계산해보세요!

실업급여 계산, 왜 중요한가요?

퇴사 후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선 단순히 ‘받을 수 있다’는 것 외에도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생계를 위한 예산을 계획하고, 재취업 준비 기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선 실업급여 예상 금액과 지급 기간을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2025 실업급여 계산 공식

2025년 실업급여는 아래의 공식으로 산정됩니다.

평균임금 × 60% = 1일 실업급여 지급액
(단, 하한선과 상한선 적용)
  • 2025년 기준 1일 지급 상한액: 80,000원
  • 2025년 기준 1일 지급 하한액: 70,000원

※ 평균임금이란 퇴사 직전 3개월간 받은 총 급여 ÷ 총 일수로 계산됩니다.

1. 평균임금 계산 방법

예를 들어, 퇴사 전 3개월 동안 받은 총 급여가 600만 원이고, 총 근무일수가 90일이라면:

6,000,000 ÷ 90 = 66,666원 → 평균임금
평균임금의 60% = 약 40,000원 → 1일 지급액
하지만 2025년 하한선(70,000원)이 적용되어 1일 70,000원 지급됨

2. 지급 기간은 얼마나?

실업급여 지급 기간은 연령과 고용보험 가입 기간(근속 기간)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

연령 고용보험 가입기간 지급일수
50세 미만 1년 이상 ~ 3년 미만 120일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 3년 이상 ~ 5년 미만 210일
모든 연령 10년 이상 최대 270일

※ 최초 수급자격 인정 후, 7일의 대기 기간이 지난 뒤 지급이 시작됩니다.

3. 실업급여 예시 계산

예시 A: 35세 / 월 평균 급여 250만 원 / 고용보험 가입 2년
→ 평균임금 약 83,000원 → 60% = 49,800원 → 1일 지급액: 70,000원 (하한선 적용)
총 지급일수: 120일 → 총 수령액: 약 840만 원

예시 B: 52세 / 월 평균 급여 400만 원 / 고용보험 가입 8년
→ 평균임금 약 133,000원 → 60% = 79,800원
1일 지급액: 79,800원
총 지급일수: 210일 → 총 수령액: 약 1,676만 원

4. 실업급여 계산기 활용하기

보다 정확한 계산을 위해 고용보험 홈페이지의 실업급여 계산기를 활용해보세요.

👉 고용보험 실업급여 계산기 바로가기

  • 급여 수준과 근속 기간 입력만으로 예상 금액 확인 가능
  • 2025년 상·하한액 기준 자동 반영

주의사항

  • 실업급여는 세후 기준이 아닌 세전 금액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 퇴직금은 실업급여 계산에 포함되지 않음
  • 재취업 시점까지 받은 실업급여는 정산될 수 있음 (조기 취업수당 등)
  • 부정수급 시 전액 환수 + 제재금 부과

📌 TIP: 실업급여는 단순한 지원금이 아닙니다. 현실적인 구직 준비의 기반입니다. 금액과 기간을 정확히 파악하고 계획적인 재취업을 준비하세요!